교과목 | 지식 내용 |
---|---|
사업화를 위한 연구기획 전략 (박사필수) | 제약바이오사들의 R&D 전략기획에 대한 사례와 기술의 사업화 전략 등에 대한 기초 지식 습득 |
신약개발연구 동향 세미나 I | 최신 글로벌 혁신신약 개발동향을 조사하고 미래지향적이고 산업에서 요구하는 신기술 및 연구 주제 등을 파악 |
혁신신약 연구 프로젝트 발굴 연습(박사필수) | 개별 혹은 팀별로 신약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조사와 분석등을 통해 연구 과제를 창출해 가는 능력을 배양 |
임상약물학과 신약개발 사례연구 (석사필수) |
임상약물학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 사례를 통해 신약개발에 대한 전략과 지식을 습득함. |
글로벌 혁신신약 인허가 전략 | 혁신 신약의 인허가 심사 요건 등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신약 발굴단계에부터 고려해야 되는 요소들에 대한 지식 |
교과목 | 지식의 내용 |
---|---|
혁신신약 연구 프로젝트 발굴 연습 | 개별 혹은 팀별로 신약 연구과제 발굴을 위한 조사와 분석 등을 통해 연구 과제를 창출해 가는 능력을 배양 |
신약 연구 기기 방법론 (석사필수) |
신약개발 연구에 필요한 제반 기기들에 대한 이해와 사용법 습득 |
논문 세미나 (석사필수) |
최신의 우수 논문을 활용한 연구전략 및 데이터 해석능력 배양 |
커뮤니케이션 기술 | 협력 및 공동연구에 필수적인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습득 |
논문작성법 (비교과) |
연구 결과물들을 명확하고 논리적인 전달을 위한 기술 |
교과목 | 지식 내용 |
---|---|
단위체 기반 약물합성 전략 | 프래그먼트 기반 약물의 합성 전략에 필요한 제반 지식 |
천연물 신소재 발굴 신기술 | 천연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질들로부터 신물질을 발굴하는 최신의 기술 |
신약연구에서의 화학생물학 | 혁신 신약개발에 활용되는 화학생물학 기법들에 대한 다양한 지식 |
의약화학 특론 | 구조-활성/물성 관계 분석을 통한 후보물질 도출에 관한 기술 |
저분자 의약품 합성방법론 | 효율적인고 다양한 저분자 합성법에 대한 지식 |
데이터기반 약물검색론 | 빅데이터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한 신약개발 발굴 기법 |
바이오의약품 특론 I, II | 바이오 의약품의 연구 개발 현황과 개발 전략 |
단백질 구조기반 신약개발특론 | 질병유발 표적단백질의 3차 구조를 바탕으로 혁신신약 발굴법 학습 |
의약품 구조-물성 최적화 연구 | 저분자 혁신신약개발에 있어 약물성 향상을 위한 구조 설계 전략을 학습 |
혁신바이오의약품특론 | 첨단바이오의약품중 혁신적인 바이오의약품개발 현황에 대한 지식 습득 |
약물 재창출 사례연구 | 약물 재창출 전략을 통한 신약 개발 전략 이해 |
의약품 구조 분석론 | 후보물질 발굴과 구조-활성 연구에 필요한 화합물 구조분석 이론 및 방법 |
의약품 반응기술개발론 | 의약품 합성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반응기술에 대한 지식과 개발동향 습득 |
세포분비 단백질 | cytokines/chemokines과 그 수용체의 기능과 기전에 대해 소개 하는 과목임. |
백신과 세포치료제 | 면역체계 관련 물질 및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선별 및 제작하여 치료, 진단 및 예방의 목적 의약품을 소개하는 과목임. |
교과목 | 지식 내용 |
---|---|
최신 고효율 탐색기술의 응용 | 선정된 표적에 대해 빠르게 탐색할수 있는 다양한 어세이 개발에 관련된 최신의 기술 |
통합적 유효성 평가기술 | 전임상 및 임상 시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험 디자인, 평가 방법등을 학습 |
생체이미지 분석기법 | 이미징 기술을 활용하여 약물의 효능을 탐색하는 기술 |
질환별 효능평가를 위한 동물실험학 | 효능 평가를 위한 질병 동물 모델의 소개와 실험 방법 학습 |
질병의 분자 기전 I, II | 최신의 중계연구를 통해 보고되는 질병의 새로운 분자기전에 대한 지식 |
약물유전체학 | 맞춤형 약물치료를 위한 환경적 및 유전적 요인에 따른 약물의 효능 사례연구 |
교과목 | 지식 내용 |
---|---|
안전성과 독성 평가 | 후보물질 개발을 위한 약물의 안전성 및 독성 평가법에 대한 최신의기술과 지식 |
약물안정성 평가론 (필수) |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약물의 invitro 대사안정성과물리적 환경에서의 안정성 평가법에 대한 지식 |
통합적 체내동태평가 | 신약 후보물질 도출을 위한 후보약물들의 ADMET평가방법과 최신 기술들을 이해 |
혁신적 약물전달 시스템 (필수) | 약물전달을 위한 제형기술에 대한 이해 |
프리포뮬레이션 | 후보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안정성 등에 대한 기초이론을 습득. |
최신복합의약풉특론 | 저분자 및 바이오의약품으로 구별되지 않는 최신 복합의약품에 대한 학습 |
바이오시밀러와 바이오베터특론 | 바이오시밀러, 바이오베터 개발 현황, 국내외 주요 기업, 시장 동향 등의 이해 |
천연기능성재료 및 응용 | 자연에서 얻어지는 기능성 물질 및 다양한 생물 적용에 대한 이해 |
천연물 기반 의약품 | 각종 천연물로부터 얻어지는 저분자 의약품등에 대한이해 |
혁신신약 생체재료와 응용 | 생체재료를 적용한 물성 향상 및 응용을 통해 혁신신약 개발의 과속화지식 습득 |
액상 혁신신약 개발론 | 혁신신약의 액상화를 위한 기초지식 및 선진 기술 습득 |
교과목 | 지식 내용 |
---|---|
신약개발연구동향 세미나 II (박사필수) |
국내외 제약 바이오 기업들의 혁신신약개발 사례 및 최신의 연구 기술 소개 |
논문 연구 세미나 | 최신의 연구 논문을 통해 연구 기술과 지식 습득 |
희귀질환치료제특론 | 희귀질환의 종류 및 치료제 개발 최신 연구 동향 학습 |
단백질 기반신약개발전략 | 항체, 항체약물접합체등을 포함하는 단백질 기반 신약개발에 있어 핵심기술들에 대한 지식 |
약물타겟팅기법 | 약물을 표적 부위에 전달하는 최신의 기법을 비교 고찰 |
빅데이터분석론 | 약물 개발,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기술과 지식 습득 |
최신바이오헬스산업 | 의약품, 의료기기, 헬스케어산업의 기술 및 산업화, 시장진출 이해 |
줄기세포와 신약개발 | 줄기 세포에 대한 이해 및 줄기세포를 이용한 신약 개발 전략 학습 |
혁신바이오의약품 개발론 | 바이오의약품으로 대표되는 단백질 의약품의 최신 생산법의 핵심기술 지식학습 |
표적신약특론 | 질병유발 단백질 발굴,단백질의기능이해,표적 validation,표적타깃 신약개발전략 학습 |
유전자공학과 신약개발 | 최신 유전자 공학법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개발방법 및 동향 분석 |
천연물 제제 효능 평가론 | 천연물약효평가에 대한 최근 지식 이해 |
생체면역학특론 | 면역학 및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세포와 분자에 대한 내용을 이해를바탕으로 질병에 대한 생체의 방어 기전을 학습하는 과목임. |
생체방어조절기전 | 면역 관련 질환의 소개와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물질에 대한 최신기전에 대한 공부를 하는 과목임. |
2020,2학기 | 2021,1학기 | 2021,2학기 | 2022,1학기 | |
---|---|---|---|---|
전공필수 | 신약연구기기방법론(김훈영,block) | 임상약물학과신약개발 사례(정선영) | 혁신신약프로젝트 발굴 연습(민경훈) | 사업화를위한 연구기획 전략(block) |
희귀질환치료제특론(김하형) | 단백질구조기반 신약개발전략(박현호) | 글로벌혁신신약인허가전략 (정지훈) | 혁신적약물전달 시스템(최영욱) | |
천연물소재발굴신기술(황완균) | 약물안정성평가론(오경택) | 단위체기반 약물개발전략 (김훈영) | 의약화학특론(민경훈) | |
혁신바이오의약품개론(서원희) | 생체면역학특론(황광우) | 데이터기반 약물탐색(정선영) | 생체이미지분석기법(이현정) | |
신약개발연구동향세미나I(block) | 신약개발연구동향세미나I(block) | 신약개발연구동향세미나I(block) | 신약개발연구동향세미나I(block) | |
신약개발동향세미나II(block) | 신약개발동향세미나II(block) | 신약개발동향세미나II(block) | 신약개발동향세미나II(block) | |
논문세미나(block) | 논문세미나(block) | 논문세미나(block) | 논문세미나(block) | |
전공선택 | 저분자의약품합성론(김훈영) | 의약품구조 분석론(김훈영) | 천연물기반 의약품(황완균) | 의약품반응기술개발론 (김훈영) |
신약연구에서의화학생물학(민경훈) | 의약품구조-물성최적화 연구(민경훈) | 액상혁신신약 개발론 (오경택) | 천연물제제 효능 평가론 (황완균) | |
혁신신약생체재료와 응용 (오경택) | 천연기능성재료및 응용(황완균) | 약물타겟팅기법(최영욱) | 통합적체내동태평가(오경택) | |
최신복합의약품특론(최영욱) | 프리포뮬레이션(최영욱) | 효능평가 동물 실험학(이현정..) | 안전성과독성평가(정선영) | |
약물유전체학(이현정) | 통합적유효성 평가기술(정지훈) | 질병의분자기전(서원희) | 생체방어조절기전(황광우) | |
빅데이터분석론(정선영) | 최신고효율 탐색기술의 응용 (민경훈,block) | 바이오시밀러와바이오베터특론 (김하형) | 약물재창출 사례연구 (서원희) | |
백신과세포치료제(황광우) | 줄기세포와신약개발(서원희) | 혁신바이오의약품개발론(박현호) | 최신바이오헬스산업(김하형) | |
표적신약특론(박현호) | 혁신바이오의약품특론(김하형) | 세포분비단백질 (황광우) | 유전자공학과신약개발 (박현호) | |
기타 | 혁신신약산업체 현장실습, 커뮤니케이션기술 | |||
프로젝트 | 프로젝트연구 I, 프로젝트연구 II, 프로젝트연구 III |